다른 웹진 보기

이슈와 쟁점

지역문화자원을 통한 마을공동체 주도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제언

성민기(Durham University, 국제문화유산경영전공)

    2015년 유엔에서 발행한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2030 어젠다에 따르면, 처음으로 문화유산을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중요한 수단으로 명시하고, 이에 대한 구체적인 역할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United Nations, 2015). 여기서 ‘지속가능한 발전’이란, 미래 세대에 필요한 자원을 훼손시키지 않고, 현재 세대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United Nations, 1992). 비록 2002년에 세계문화유산위원회(World heritage committee)에서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루기 위한 중요한 요소로서 문화유산의 역할을 경제적, 환경적, 사회적 측면에서 강조하였지만 (Landorf, 2009), 지역의 문화유산은 지역개발이라는 측면에서 중요한 연구의 대상으로 다루어지지 않았다 (UNESCO, 2015). 이는 문화유산이 보존의 대상이지, 활용이 대상이 아니라는 인식이 있기 때문이었다 (Grimwade and Carter, 2000).

    이로 인해, 문화유산에 대한 경제적, 환경적, 사회적 가치가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하는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Yung et al., 2017), 이는 서양의 유럽국가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이로 인해, UNESCO에 등재된 대부분 세계문화유산은 유럽 중심으로 퍼져있게 되었고 (Winter, 2013), 이를 타개하기 위해 최근 아시아와 아프리카 문화유산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Tan and Ti, 2020). 그 결과, 비교적 규모가 크고, ‘탁월한 보편적 가치(Outstanding Universal Value)’가 있다고 여겨져 국가적으로 중요하게 관리되는 문화유산들을 대상으로 중점적인 연구가 이루어졌지만, 그 외 지역문화유산에 대한 연구는 비교적 적게 이루어졌다 (Grimwade and Carter, 2000). 이러한 연구의 공백을 메우기 위해, 일련의 연구들이 지역문화유산에 대해 다루었고, 그 결과 지역의 문화유산은 지역공동체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지역주민들은 문화유산의 보존과 활용에 적극적으로 참여함을 통해, 지역에 대한 자긍심과 소속감을 느낄 수 있고, 나아가 지역의 고유한 정체성을 형성할 수 있다고 밝혔다 (Mydland and Grahn, 2012; Silva, 2014; Waterton and Smith, 2010).

    우리나라에서도 지역의 문화유산에 대한 가치를 다양한 측면에서 연구할 필요가 있다. 최근 진행된 농산어촌 마을의 자원관리·이용 실태와 과제(2020)에서 제주도의 한동리와 저지지를 대상으로 마을의 물적(자연자원, 유형문화자원, 무형문화자원, 마을공유자원, 관광자원), 인적(마을 리더, 경제활동 인구, 전문직 종사자, 귀농인), 사회적 자원(신뢰, 참여, 연결망)에 대해서 연구가 이루어졌다 (Ki et al., 2020). 제주도는 다른 행정조직에서 볼 수 없는 특이한 ‘리’ 단위의 면사무소가 있는 마을단위의 사회적 자본이 잘 형성된 지역이기에, 지역의 문화유산과 마을공동체와 관련된 중요한 시사점을 줄 수 있다. 특히, 이 연구는 물적 자원 중 지역의 유형문화유산인 박물관, 미술관, 기념비, 사적지 등과 마을공동체의 연결망(지역사회내 공식 및 비공식 단체, 이웃의 범위, 도움이 필요할 때 활용할 수 있는 지원체계 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지니고 있음을 밝혀냈다. 이를 통해, 지역주민들의 연결망은 지역의 문화유산이 잘 활용될 수 있는 기반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이전 연구들을 통해 유추해 볼 수 있다. 특히, 저지리 마을의 경우, ‘문화예술이 살아있는 가장 아름다운 마을’을 표방하는 것처럼, 예술인 마을과 미술관이 있어, 독특한 지역의 정체성을 형성한 마을로 외부 유입인구가 꾸준히 있는 상황이다.

    이처럼, 지역의 문화유산을 지역주민들이 어떻게 향유(享有)하는지 다양한 지역에서 연구가 필요하다 (Silva, 2014). 각 지역의 문화유산은 그 지역의 커뮤니티와 문화가 어떻게 형성되어 있는지에 따라 그 역할이 다르게 인식되기 때문이다 (Mason, 2008). 또한, 지역주민들의 필요에 맞는 지역문화유산의 활용이 어떻게 이루어질 것인지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이를 통해 지역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관심을 이끌어 낼 수 있다면, 문화유산은 단순히 보존의 대상이 아니라, 활용할 수 있는 ‘문화자원’으로서 자리매김하여 지속가능한 발전의 중요한 요소로서 역할을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다.

References
  1. Grimwade, G. and Carter, B. (2000) Managing small heritage sites with interpretation and community involve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Heritage Studies, 6(1), pp. 33–48.
  2. Ki, J.H., Lim, H.B., Chun, H.J., Sung, M.K., and Park, G.H. (2020) Current Status and Challenges of Resource Management and Utilization in Rural Villages. Naju;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3. Landorf, C. (2009) A framework for sustainable heritage management: A study of UK industrial heritage sites. International Journal of Heritage Studies, 15(6), pp. 494–510.
  4. Mason, R. (2008) Be interested and beware: Joining economic valuation and heritage conserv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Heritage Studies, 14(4), pp. 303−318.
  5. Mydland, L. and Grahn, W. (2012) Identifying heritage values in local communities. International Journal of Heritage Studies, 18(6), pp. 564–587.
  6. Silva, L. (2014) The two opposing impacts of heritage making on local communities: residents’ perceptions: a Portuguese case. International Journal of Heritage Studies, 20(6), pp. 616−633.
  7. Tan, S.B. and Ti, E.S. (2020) What is the value of built heritage conservation? Assessing spillover effects of conserving historic sites in Singapore. Land Use Policy, 91, p. 104393.
  8. UNESCO (2015) Policy Document for the integration of a Sustainable Development perspective into the processes of the World Heritage Convention. Paris: UNESCO.
  9. United Nations (1992) United Nations Conference on Environment & Development Rio de Janerio, Brazil, 3 to 14 June 1992, AGENDA 21, Rio de Janeiro: United Nations Sustainable Development.
  10. United Nations (2015) Transforming our world: the 2030 Agenda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RES/70/1. New York: General Assembly of United Nations.
  11. Waterton, E. and Smith, L. (2010) The recognition and misrecognition of community heritage. International Journal of Heritage Studies, 16(1-2), pp. 4−15.
  12. Winter, T. (2013) Clarifying the critical in critical heritage studies. International Journal of Heritage Studies, 19(6), pp. 532–545.
  13. Yung, E.H.K., Zhang, Q. and Chan, E.H. (2017) Underlying social factors for evaluating heritage conservation in urban renewal districts. Habitat International, 66, pp. 135–148.